창세기 10 장 | ||||
시날(10): 수메르는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강의 주변지역이다. 그 곳에서 유명해진 도시가 바벨론과 니느웨이며, 민족으로는 악카드족이 번성하기도 했다. 일반 역사는 수메르의 역사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성경은 그 이전에 찬란한 문명이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역사는 홍수로 모든 것이 다 사라지고, 폐허가 된 다음에 시작된 새로운 문명의 역사인 셈이다. 그 이전 문명은 신화 속으로 사라지고, 그 흔적이 혹시 남았다가 발견이 되면 그것은 불가사의일 뿐이다. 성경의 창세기1-10도 믿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계시이지만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그런 신화나 불가사의 중의 하나인 셈이다. 만약에 핵전쟁이 일어나서 모든 사람이 다 죽고 겨우 몇 사람이 살아남았다고 한다면 또 이런 현상이 생기지 않을까? 상상력을 동원해 보라. 다시 이런 문명을 회복하지 못한 채 원시의 생활부터 시작할 터이고 몇 세대가 지나지 않아 지금의 문명, 하늘을 날고 땅속을 달렸다는 이야기는 전설 속의 이야기가 되고 만다. 문명의 흔적이 좀 남았다고 해도 그것은 한 두 세대에게는 전해지지만 몇 세대 지나지 않아 새로운 원시 시대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와중에 홍수 이전의 기록 혹은 내용이 어떻게 전해졌을까? 홍수 직후의 선조들이 오래 살아 있어야할 필요는 여기에도 있을 터이다. 2. 지구의 모든 인류가 노아의 후손으로 말미암아 나뉘었단다. 아담의 후손일 줄 알았는데... 노아는 중시조인 셈인가!
1) 그러면 한 사람에게서 황인종, 백인종, 흑인종도 다 나올 수 있다는 말인가?
(1) 문화 인류학적 분류 - 정치, 문화, 언어, 지리적 요인에 따른 분류 3. 가장 땅을 많이 차지하고 번성한 족속은 누구의 후손인가? 함(가나안): 먼 훗날 가장 하나님과 멀어질 백성이 가장 번성하고 땅을 많이 차지하는 것은 버림받은 가인의 족보가 셋의 족보보다 더 화려한 것과 마찬가지, 야곱보다 에서의 후손이 더 화려해 보이고 믿지 않는 사람들이 삶이 우리보다 더 화려해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진정한 행복은 결코 이 땅에서 번영하는 것이 아니다. 4. 11장에 보면 언어가 혼잡케 되어 온 인류가 흩어지게 된다. 그 사건이 언제쯤 있었는 지 정확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어쩌면 그 시기를 짐작케하는 표현이 10장 어디엔가 있지 않을까? 세 곳을 짚으시오. 4절 다음, 18, 25: 25절의 ‘세상이 나뉘었음이요’란 표현에 특히 주목해 보자. 이것이 꼭 인류가 흩어진 사건이냐 아니냐는 누구도 장담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사건 외에 달리 기록할만한 다른 일이 있었을까? 또 바벨탑의 주역이 니므롯이라면 니므롯의 시대가 벨렉의 시대보다 조금 앞선 것 같아 보인다. 참고삼아 김성일 장로님의 ‘홍수이후(1-4)’를 읽어보시도록 권합니다. 5. 바벨탑 사건을 일으킨 주동자는 누구일 가능성이 가장 높을까요? 니므롯 = 반역자, 특이한 사냥꾼이란 짐승을 난폭하게 잡는 사냥꾼이란 뜻인데, 잔혹한 전쟁광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대체로 이런 사람이 권력을 잡는다. 이런 힘을 가진 자를 제거하고 민주주의가 제대로 살아남으려면 투표에 적극 참여하는 수밖에 없다. 민도가 낮을수록 대체로 이런 사람들이 정치판에서 힘을 쓰는 법이다. 6. 만약 중국 사람도 노아 홍수 이후에 갈려 나간 것이라면 그들이 처음에 글자를 만들 때 그들이 공통적으로 잘 아는 내용(창1-9)을 가지고 글자를 만들었을 것이 당연하다. 다음 글자들의 구성이 창세기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 지를 살펴보자.
7. 사람의 동작을 나타내는 글자를 만들려면 사람 인(?)을 사용하는 것이 정상일 것입니다. 그런데 수 없이 많은 두인(두 사람 인 ?) 변의 글자들은 무슨 근거로 만들어졌을까?
往 (갈 왕) = ?(두 사람) + 主 8. 여덟 팔 변(八)의 글자들은 성경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穴(굴 혈) = 여덟 사람(八)이 임시로 거처를 정한 곳 9. 다음 글자들은 어떤 사건과 관련이 있을까?
塔(탑) = 인류(人)가 하나의(一) 언어(口)를 갖고 진흙(土)으로 시작한 것을 나타냅니다. |